주님의교회 청소년부 몽골 단기 선교
2025년 7월 28일 ~ 8월 3일
시작 자는 둥 마는 둥 뒤척이다 알람이 울렸다. 새벽 3:40이다. 잠을 잔 것 같지도 않은데 교회로 가야 한다. 침침한 눈을 비비며 비전홀로 갔다. 이미 도착한 아이들도 있다. 아이들이 하나둘씩 부모님과 함께 나타났다. 자녀를 처음으로 ‘선교’의 이름으로 먼 곳으로 보내는 부모님들. 다 함께 빙 둘러서서 기도를 했다. 우린 부모님들의 배웅을 받으며 버스에 올랐다. 시작이다.
인천공항에 도착해 탑승 수속을 끝내고 아침을 먹은 후 비행기에 올랐다.
주님의교회 청소년부 여름 수련회
2025년 7월 18일 ~ 20일
가평 어피어 연수원
요셉의 꿈 어느 날 요셉은 꿈을 꾼다.
형들의 곡식단이 요셉의 단에 절하고, 해와 달과 별이 요셉에게 절한다.
이런 꿈은 누구나 꿀 수 있는 거잖아. 그래봤자 그냥 기분 좋게 하루를 시작하는 정도잖아. 하늘을 날거나 슈퍼맨이 되거나 영웅이 되어서 악당을 무찌르는 그런 꿈은 다들 꾸는 거잖아. 누구나 자면서 꿀 수 있는 이런 사소한 꿈이 하나님의 계시일 리가…
요셉은 진짜로 그렇게 될 거라고 생각한다.
주님의 교회 청년 주일(성년식) 예배를 드리며
5월. 수줍게 피어있던 여린 이파리들이 이제 본격적으로 존재감을 드러낸다. 짙은 초록으로 넘어가기 직전의 마지막 연둣빛이 예쁘다. 오랜만에 본 스무 살 친구들의 모습이 이랬다. 오늘 예배때 한 성년식 행사로 작년 고3이었던 우리 반 아이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열아홉 땐 입 꾹 다물고 무게만 잡고 있던 아이들이 내가 알던 그 아이가 맞나 싶을 정도로 능글능글해졌다. 먼저 다가와 말을 걸고 낯간지러운 말도 한다. 예뻐지고 멋있어지고 말끔해졌다. 자신을 가꾸는 법도 배워간다.
주님의교회 청소년부 겨울 수련회
2025년 2월 7일 ~ 9일
강화성산예수마을
다양한 모습의 예배자 무대에서 마이크를 잡고 찬양을 이끈다. 그 앞으로 뛰어나와 온몸으로 춤을 추며 찬양한다. 가만히 서서 눈을 감고 하나님을 찬양한다. 한쪽 옆엔 여러 악기로 소리를 만들어내는 세션 팀이 있다. 멀찍이 앉아서 그 모습을 조용히 바라보며 가사를 읊조린다. 저 뒷자리에 서서 두 손을 높이 들고 부르짖는다. 중간중간 지쳐 있는 아이들도 있지만, 마음으로는 하나님을 찾고 있다. 음향, 조명, 영상으로 사람들의 시선과 마음을 한곳으로 모은다.
선물 지난 주말 점심을 먹으면서 지안이한테 이번 생일 때 받고 싶은 선물을 얘기했다.
“아빠 생일 선물로 너에게 헤드폰을 사주고 싶어.”
이게 꿈인지, 어리둥절해하며 입을 다물지 못한다. 오랜만에 어린아이처럼 좋아한다.
“너의 기쁨이 아빠가 받고 싶은 선물이야.”
지안이는 예전부터 헤드폰을 갖고 싶어 했다. 감히 엄두를 못 내고 내 에어팟을 괜스레 탐내곤 했다. 아빠의 생일 선물이 자기의 헤드폰이라니!
바로 교보문고로 가서 SONY 헤드폰을 샀다. 집에 와서도 믿기지 않는 표정이다. 이 여운이 꽤 오래간다. 며칠째 기쁨에 싸여있다.
오랫동안 꺼내지 않았던 노트를 꺼냈다. 하루하루 많은 일이 일어나고 이 생각 저 생각이 휙휙 지나가고 있는데 글감은 말라간다. 글감은 가만히 있으면 나오지 않는다. 캐내야 한다. 글감을 퍼내는 도구는 노트와 펜이다.
신기하네. 노트와 펜을 꺼내
‘새벽에 잠이 깼다. 배가 아프다. 먹는 걸 조심해야겠다.’
이 첫 문장을 쓰고 나니 글감이 흘러나온다. 다행이네. 아예 꽉 막히진 않았구나.
노트를 뒤적이며 예전에 썼던 글을 봤다. 그땐 그저 휘갈기고 말았는데 다시 보니 맘에 든다. 옮겨보자.
타인의 시선은 생각보다 덜 중요하고 나의 시선은 생각보다 더 중요하다.
이제야 마음이 평온해졌다. 그래, 이게 내가 원하던 삶이잖아.
하이데어를 정리하며 하이데어는 2016년부터 대학교 선배와 얘기해 오던 서비스다. 북경에서 폭풍 같은 시간을 보낼 때, 어차피 이렇게 살 거면 하고 싶은 거 하자는 생각이 들었다. 선배에게 전화했다.
“이제 그만 얘기하고, 시작하자.”
다른 건 다 해도 창업은 못 할거라 생각했는데, 그때 난 더 잃을 것도 없었다. 그렇게 내 회사를 시작했다. 밤마다, 주말마다 몸을 갈아 넣어서 만들었다. 중국 생활을 접고 한국으로 들어와 제대로 팀을 꾸렸다.
꿈 시리즈 세 번째 글이다.
2019년에 처음으로 나의 꿈에 대해 글을 썼다. – 꿈
2022년에 [하이데어]에서 대화를 신청한 친구가 꿈을 실제로 어떻게 실현하고 있는지를 물어봐서, 그 질문에 대한 답으로 이 글을 썼다. – 꿈을 가지고 살아가기
이제, 다음 이야기를 써야 할 시점이 되었다.
유목민으로 살아가기 북경을 떠나기 전 마지막 고등부 수련회. 목사님께 요청했다.
“마지막으로 아이들에게 해주고 싶은 이야기가 있어요. 저에게 한 시간만 시간을 주세요.”
나의 삶을 돌아보며, 앞으로의 삶을 다짐하며. 사랑하는 고등부 친구들에게 마지막으로 해 줄 이야기를 한자 한자 적어 내려가며 참 많이 울었다.
주님의교회 청소년부 수련회
2024년 7월 26일 ~ 28일
강화도 신덕수양관
내가 좋아하는 젬베로 내가 좋아하는 찬양을 한다. 가죽을 치며 나는 소리가 손바닥을 타고 몸 안으로 들어온다. 미세한 진동이 피부에 느껴지고 심장으로 전해진다. 소리는 손바닥의 타격감에서 시작된다. 손의 통증이 소리를 만들어낸다. 그 통증이 좋다. 손바닥의 얼얼함이 은혜를 머금고 있는 느낌이다.
교회 열등생 난 교회 열등생이었다. 하나님을 어떻게 만나야 할지 몰랐다. 하나님은 계속해서 내 옆에 있었는데 난 다른 곳에서 하나님을 찾았다. 그걸 알기까지 참 오래 걸렸다.
# 버스킹을 하루 앞두고
오후에 소연샘한테 일대일 레슨을 받으러 갔다. 불안했나 보다.
새로운 것을 앞두고 드는 불안한 마음. 여러 번 겪어도 익숙해지지 않는다. 여전히 안절부절못하고 가슴이 쫄깃해 온다. 그래도 여러 번 하다 보니 이 감정과 조금은 친해진 것 같다. 이 녀석, 또 찾아왔네. 오히려 반갑다.
난 무슨 마음으로 버스킹을 한다고 했을까? 찬양 인도자 최세현 목사님도 오신다고 하고, 드러머 국지원 전도사님도 오신다고 하고. 음악으로 난다긴다하는 사람도 많이 지나갈 텐데. 난 무슨 생각으로 한다고 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