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하는방식

전략이 먹히지 않는 이유

장재휴
전략을 세우는 기준은 현재다. 지금 시점에서 과거를 돌아보고 미래를 예상해본다. 그리고 예상되는 미래를 준비한다. 다양한 미래가 예상되면 플랜A, 플랜B를 준비한다. 예상되는 미래가 2개 이상일때는? 플랜C, 플랜D, 플랜E,,,를 준비해야겠지. 전략이 먹히지 않는 첫번째 이유는, 앞으로 펼쳐질 미래의 다양함은 우리의 플랜을 넘어선다. 미래는 예측할 수 없다. 그래서 대비할수도 없다. 반응할 뿐이다. 하지만 미래는 한번에 짠ㅡ 하고 나타나지 않는다. 지진이 일어나기 전에도 전조현상이 있듯, 미래도 전조현상이 있다. 동물들이 그 전조현상을 알아채고 바로 반응하듯, 우리도 동물처럼 전조현상을 예의주시하고 있어야 하고 거기에 기민하게 반응해야 한다.

실패로부터 배운 한주

장재휴
여러 일로 허덕이는 한주였다. 사실, 난 월요일날 이걸 인지했었다. 지난 주간회의때, 이번주 해야할 일이 잘 나오지 않았다. 아ㅡ 일주일의 일도 명확하게 정의할 수 없을만큼 불투명한 상태구나. 일단 수요일까지 할일만 정하고 수요일 오후에 다시 얘기해보자고 했었다.(그것도 사실 모호하긴 했었음) 일주일을 예측 못하는 주간이라니.. 이번주는 통제 안되는 일이 빵빵 터질꺼라고 예상을 했었어야 했다. 그리고 난 매일마다 통제 안되는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었어야 했다. 근데 나도 그냥 별 신경 안쓰고 내 할일만 열심히 하며 보냈다.

ChatGPT와 함께 코딩하기

장재휴
여기저기 ChatGPT 얘기로 떠들썩하다. 늘 그렇듯 새로운 기술이 나오면 그걸로 바뀔 미래를 점쳐보느라 바쁘다. 그런 건 잘 모르겠고, 나의 관심은. “그래서 어떻게 하면 개발을 좀 더 쉽게 할 수 있을까?” 1인 개발자로, 하이데어를 혼자서 개발하고 있는데. 상당 부분의 일은 단순작업의 반복이다. 많은 부분을 자동화해 놓았지만, 그래도 단순코딩은 여전히 많다. 그런 걸 어떻게 줄일 수 있을까? ChatGPT를 내 부사수처럼, 외주 개발자처럼, 함께 짝코딩하는 동료처럼, 부담 없이 아무거나 질문할 수 있는 전문가처럼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선택과 집중'하지 않기

장재휴
“선택과 집중” 회사 생활을 시작한 이후로 너무 많이 들어서 이젠 식상해질 정도다. 뭔가를 시작하기 전에, 너도나도 또 이 식상한 단어를 꺼내면서 *딴짓금지*를 강요한다. 이쯤 되면 괜한 반발심까지 든다. ㅋ 선택에 대해 1안이냐? 2안이냐? 더 중요한 것을 선택하고 싶은 마음은 알겠으나, 해보지 않은 두 갈래길 중 하나를 고르는 건 도박에 가깝다. 결정을 요구받은 그는 엄청 고민하는 척, 고민 코스프레 ㅋ 후에 하나를 결정한다. 그리곤 그 길을 밀어붙힌다. 당연히 결과는 기대에 못 미친다.

토론에서 이기는 방법

장재휴
토론은 생각이 다른 사람이 대화를 통해 합의점을 찾는 것이다. 이상적인 토론의 마지막 장면은, 양 끝단에서 대립하고 있던 의견의 중간 지점에서 결론이 나는 것이다. 즉, 내 생각도 바뀌고 상대방의 생각도 바뀌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모습. 토론 후 가장 큰 혜택을 얻는 사람은 누구일까? 토론을 통해 생각이 바뀐 사람이다. 원래는 A라고 생각했는데, 상대방과 대화를 나누면서 자기 생각이 잘못 되었다는 걸 깨닫고, B로 생각이 바뀐 사람. 이전에는 몰랐던 세상을 알게 되었고, 그 새로운 세상을 받아들이고, 새로운 생각을 하게 된 사람이다.

혁신

장재휴
혁신은 대단히 획기적인 무언가를 들고 나오는게 아니다. 익숙하게 하던 일/생각을 다양한 방식으로 그려보고, 표현해보고, 이야기해보면 빈틈이 보인다. 그 빈틈을 메꾸려는 행동이 “혁신” 이다. 여기에 필요한 건, “추상화(abstraction)” 능력. 한발 떨어져 큰그림으로 볼 수 있어야 한다. 그걸 어떻게 연습 할 수 있을까? “변하지 않는 것은 뭘까? 변하는 것은 뭘까?” 늘 이 질문을 해 보는거다. 변하지 않는 것을 중심에 놓고, 변하는 것을 변수 자리에 놓아보자. 변수 자리에 다양한 상황을 넣어보다보면 추상화 된 그림이 그려진다.

새로운 프레임 장착하기

장재휴
오랫동안 한 분야를 경험(또는 공부)하면 세상을 그 방식으로 보려고 하는 프레임이 생긴다. 세상을 보는 프레임이 있다는 것은 좋은 거다. 이 세상은 너무너무 복잡해서 세상을 바라보는 나만의 프레임이 없다면 혼란 속에서 길을 잃고 아무것도 보지 못하고 헤맬 수도 있다. 하지만 그것의 문제는, 아주 다양한 모습의 세상을 하나의 모습으로만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중요한 것을 못 보거나 왜곡되게 바라볼 수 있다. 그럴땐 여러 개의 프레임을 가져보는 건 어떨까? 2개 이상의 프레임이 있을 때 좀 더 균형이 생기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