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리뷰]그리스인 조르바

장재휴
니코스 카잔차키스 지음, 이윤기 옮김, 『그리스인 조르바』, 열린책들, 2009 저자 정보 니코스 카잔차키스. 1883년 크레타에서 태어났다. 내가 1982년생이니 나와 99살 차이다. 당시 크레타는 터키의 지배하에 있었다. 카잔차키스는 기독교인 박해와 독립전쟁을 겪으며, 그리고 동서양 사이에 위치한 그리스의 역사적 사상적 특이성을 체감하며 이를 자유를 찾으려는 투쟁과 연결시켰다. 자유에 대한 갈망 외에도 여행은 그의 삶과 작품에 큰 영향을 주었다. 자유와 여행, 뭔가 어울린다. 베르그송과 니체 그리고 불교의 영향을 받았던 그는 1917년 『그리스인 조르바』의 주인공이자 실존 인물인 기오르고스 조르바를 만난다.

[책리뷰]뼛속까지 내려가서 써라

장재휴
나탈리 골드버그 지음, 권진욱 옮김, 『뼛속까지 내려가서 써라』, 한문화, 2018. 저자정보 1948년 출생. 전 세계에 글쓰기 붐을 일으켰다. 25년간 이어온 선(禪) 체험과 글쓰기를 접목시켜서 혁명적이고 강력한 글쓰기 방법을 소개했다. 『글 쓰며 사는 삶』, 『인생을 쓰는 법』, 『구언으로서의 글쓰기』, 『버리는 글쓰기』 등을 지었다. 내용요약 글 쓰는 노하우에 대한 글이다. 내면의 더 깊숙한 곳까지 들어가서 그것을 끌어내는 쓰기를 권하는데, 제목 그대로다. - “뼛속까지 내려가서 써라” 소감 헷갈릴 때, 어떻게 판단을 내려야 할까? 이것에 대한 나의 방법은 “처음 생각을 떠올려보자"이다.

나의 인생책 - 『뿌리』

장재휴
알렉스 헤일리, 『뿌리』, 열린책들 내용 『뿌리』의 주인공 “쿤타킨테"는 1750년에 서아프리카 감비아에서 태어나 행복한 어린 시절을 보내며, 아주 건강하고 늠름한 소년으로 성장해가고 있었다. 그러던 그가 17세 쯤 되던 어느 날, 흑인 사냥꾼들에게 잡혀 미국으로 끌려가게 된다. 끌려가는 과정은 죽음을 통과하는 듯한 고통스러운 시간이었지만, 미국에 도착한 이후에는 더한 고통이 이어졌다. 어떤 상황 속에서도 아프리카로 돌아가려는 희망을 잃지 않았던 쿤타킨테는, 한 백인 주인에게 팔려가 손과 발을 묶고 있던 쇠사슬이 풀리는 그날 탈출을 시도한다. 탈출하고 잡히고, 또 탈출하고 또 잡히고….

[책리뷰]빌뱅이 언덕

장재휴
권정생, 『빌뱅이 언덕』, 창비, 2012 저자 정보 권정생. 1937~2007. 일본 도쿄에서 태어나 해방 직후 우리나라로 돌아왔다. 경북 안동 일직면에서 마을 교회 종지기로 일했고, 빌뱅이 언덕 작은 흙집에서 살았다. 전쟁과 가난 때문에 얻은 병마와 싸우면서 작고 약한 것들에 대한 사랑으로 많은 작품을 발표했다. 그는 한국 아동문학을 대표하는 작가이면서 자연을 파괴하는 문명의 횡포를 비판한 사상가이자 전쟁을 반대하고 통일을 염원한 평화주의자, 교회의 잘못을 꾸짖은 독실한 기독교 신자였다. 2007년 5월 17일 세상을 떠날 때까지 전쟁으로 고통받는 어린이들을 걱정하였고, 인세를 어린이들에게 써 달라는 유언을 남겼다.

나의 가장 부끄러운 선택

장재휴
중학교 2학년 때다. 우리 반에 한 친구가 있었는데 그는 뭐든지 반응이 느리고 목소리도 특이했다. 손가락 끝을 물어뜯는 버릇이 있었는데, 그래서 손톱 주변의 살이 늘 뜯겨나가 있었다. 반 친구들은 그 아이를 자주 괴롭혔다. 난 그냥 멀리서 지켜보기만 했다. 어느날 선생님께서 우리 반 자리 배치를 싹 바꾸셨는데, 나를 그 친구 옆자리에 앉히셨다. 내 짝이 된 것이다. 반 아이들의 괴롭힘은 계속되었다. 옆에 있던 나는 그냥 가만히 있었다. 그때의 우리 반 분위기는, 드라마에 나오는 학교폭력 장면처럼 그렇게 살벌한 분위기는 아니었다.

[책리뷰]읽기의 말들

장재휴
박총, 『읽기의 말들』, 유유, 2017 저자 정보 박총. 책상에선 작가, 교회에선 목사, 집에선 고양이 집사. 『밀월일기』, 『욕쟁이 예수』, 『내 삶을 바꾼 한 구절』, 『읽기의 말들』, 『하루 5분 성경 태교 동화』 등을 썼고, 『신은 낙원에 머물지 않는다』, 『하나님의 아이들 이야기 성경』,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이야기』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내용 요약 제목 그대로 “읽기"에 대한 말들을 모았다. 그리고 거기에 작가의 생각을 덧붙였다. 동서고금의 여러 작가와 책의 글을 인용해서 읽는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폭넓게 이야기를 하고 있다.

나의 젬베 이야기

장재휴
젬베와의 만남 2009년 인도를 여행하다가 처음 젬베 소리를 들었다. 심장이 울리는 느낌이었다. 소리가 나는 곳을 찾아갔다. 허름한 헛간에서 한 친구가 젬베를 치고 있었다. 이후의 여행 일정을 다 취소했다. 거기 눌러앉아 그 친구한테 젬베를 배웠다. 그 후 아프리카 음악에 관심이 생겼다. 빠져들었다. 이듬해, 아프리카 음악의 정수를 보기 위해 서아프리카 세네갈로 갔다. 거기서 길거리 뮤지션들을 찾아다니며 그들의 음악을 배우는 여행을 했다. Amadou와의 만남 2010년. Saint-Louis, 세네갈 북쪽 끝에 있는 해안마을이다. 여기서 Amadou라는 친구를 만났다.

[책리뷰]공부하는 삶

장재휴
앙토냉 질베르 세르티양주, 이재만 옮김, 『공부하는 삶』, 유유, 2013 저자 정보 앙토냉 질베르 세르티양주(1863-1948) 세상에서 공부를 가장 좋아한 사람으로 불린다. 프랑스의 가톨릭 신학자이자 철학자. 1883년, 20세, 도미니크회 입회. 1888년, 25세, 사제 서품을 받음. 1890년, 27세부터 코르시카 섬의 코르바라에서 신학을 가르침. 1893년, 30세에 토마스 아퀴나스에 관한 연구지인 『르뷔 토미스트』 창간. 1900년에서 1922년까지(37세~59세) 파리 가톨릭대학교의 철학교수 역임, 신토마스주의를 대표하는 신학자가 됨. 저서: 『예수』, 『성 토마스 아퀴나스』, 『토마스주의 철학 요강』, 『기독교와 철학』 등

마음의 허기짐

장재휴
어렸을 때 가정 형편이 넉넉하지 못했다. 그래도 어머니께서 요리 실력이 좋으셔서 맛있는 음식을 늘 푸짐하게 먹었던게 사실이다. 하지만 기억엔 아쉬운것만 남는다. 엄마가 해 주신거 말고, 삐까번쩍한 식당에 가서 먹는 음식들이 참 맛있어보였는데, 특히 돈까스, 스파게티, 피자,, 이런 서양 음식들이 그랬다. 하지만 집안 형편상 그런 음식을 먹어볼 순 없었다. 그 아쉬움은 몸에 남았다. 그게 언제 드러나느냐면 뷔페에 갔을 때다. 거기 있는 음식들은 전부 다 한 번씩 먹어봐야 한다. 괜히 서양 음식들이 맛있어 보인다.

하이데어 학교

장재휴
7월 중순쯤부터 개발팀에 합류한 고등학생 이야기다. 아ㅡ 자퇴를 했으니 고등학생이 아니지. 7월 초에 처음 줌으로 만나 얘기를 나누었다. 학교에서 개발을 배우게 되었고 코드를 짜는 것에 재미를 붙였는데, 학교 선생님이랑 친구들과 짜는 코드가 잘 짜는 코드인지 잘 모르겠단다. 실제 동작하는 것을 만들어보며 진짜로 사용되는 걸 만들어보고 싶단다. 하이데어 팀에 와서 나랑 같이 개발하며 배워보고 싶단다. 코드를 짜는 것을 넘어서, 개발하며 사는 삶을 배우고 싶단다. 무엇을 하고 싶은 건지, 어떤 경험을 하고 싶은 건지, 진짜로 하고 싶은 게 이게 맞는지.